고속도로에서 일정구간의 평균속도를 측정해서 제한된 평균속도를 위반하는 차량을 단속하는것을 '구간단속' 이라 합니다.
구간단속 구간임을 알려주는 심볼이 맵피고 1.0버전에서는 아래와 같았었습니다.(심볼의 네모 박스는 맵피에서 제공하는 심볼 모양이 아니라 필자가 그린것입니다.)
좌측 Fast 글자 부분은 주행 중인 차량의 속도를 보여줍니다.
맵피고 1.5 버전에서는 아래와 같은 모양으로 바뀌었습니다.
1.0 버전대에 비해 좀 더 정교한 안내를 합니다.
좌측 속도계는 주행중인 차량의 속도를 보여줍니다.
구간단속 구간 심볼 상단의 S는 구간단속구간의 시작점을 알려줍니다. (순식간에 통과하므로 색상이 변하는 것을 볼 일은 거의 없겠죠? ^^)
M은 구간단속 구간 내에 있음을 알려줍니다.
E는 구간단속구간의 종점임을 알려줍니다.
심볼 내의 100은 구간단속 구간의 평균제한속도를 알려주므로 진입하고 주행 중에 숫자가 변하지는 않습니다.
심볼 하단의 7.3KM 는 구간단속 구간의 거리를 나타냅니다.
구간단속구간의 종점이 다가올수록 거리는 줄어듭니다.
좌측의 녹색 숫자 100은 제한 속도를 초과하지않는 주행 가능한 최대 속도입니다.
예를 들어 구간단속구간내에서 서행을 했기 때문에 남은 구간을 120KM로 달려도 평균 속도가 100KM를 넘지않는다고 120을 보여주지는 않는다는 것이죠.
제한속도 100을 넘지않는 선에서 달릴 수 있는 최대 속도를 보여주고 SAFE 표시를 해줍니다.
녹색 숫자아래 시계 표시는 구간단속구간내에 터널이 있어 터널을 통과할 경우
GPS 수신이 안되기 때문에 GPS로 측정한 속도를 토대로 알려주던 평균속도는 무용지물이 됩니다.
이때 시간은 매우 유용한 정보가 됩니다.
아래 이미지의 심볼처럼 7.3KM 거리의 구간단속구간을 평균 100KM의 속도로 주행한다면 4분 23초가 걸린다고 알려줍니다. 그런데 구간단속구간의 종점을 통과할 때 남은 시간이 있다면 평균속도 100KM를 초과한것이므로 단속대상이 됩니다.
'맵피 G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맵피GO의 TPEG 경로와 SMT 경로비교 1 (0) | 2011.10.26 |
---|---|
맵피고3D의 교통 경로와 2D의 추천경로 비교 (0) | 2011.10.26 |
시간 (0) | 2011.09.19 |
맵피고 1.5.. 지도 자동 축척 변경 설정 (0) | 2011.08.24 |
미리보는 맵피고 1.5 - 포토고(Photo Go) 모드 (0) | 2011.05.27 |